콘텐츠로 건너뛰기

정확한 약 버리는 법 총정리 그냥 쓰레기통에 버리면 안 되는 이유

    “유통기한 지난 약, 그냥 하수구에 ?” 약 버리는 법 총정리 이게 끝

    감기약, 소화제, 해열제, 연고, 시럽…
    한 번쯤은 쓰다 남은 채로 집 안 어딘가에 방치해본 적 있으시죠?

    특히 계절 지난 감기약이나,
    병원 처방 다 끝났는데도 남은 알약들…

    대부분은 그냥 ‘버려야겠다’ 싶어도
    정확히 어떻게 버리는지 몰라서
    쓰레기통이나 하수구로 향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약 버리는 법 약국에서 안 받는 약도 있어요!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약 버리는 법 약국에서 안 받는 약도 있어요!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하지만 이거,
    생각보다 위험합니다.
    약은 일반 생활쓰레기와 달라요.
    특히 항생제, 호르몬제, 진통제 같은 약성분이
    하수구로 흘러가면 정화되지 않고 자연에 그대로 남게 되고, 수질 오염은 물론 생태계까지 교란시킬 수 있어요.

    서울시에서 폐의약품 분리배출을 지속적으로 알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


    약 버리는 법 버리는 장소는 여기입니다

    ✔️ 가까운 수거함 위치

    • 보건소
    • 동 주민센터
    • 약국 (참여 약국만 가능)
    • 복지관
    • 일부 지자체 운영 ‘우체통’ (서울, 세종, 나주 등 일부 한정)

    💡 서울 사시는 분들은 ‘스마트서울맵’에 ‘폐의약품’ 검색하면
    지도 기반으로 가까운 수거함 찾을 수 있어요.


    📦 약 종류별 약 버리는 법 요약표

    약 종류처리 방법유의사항
    가루약포장된 상태 그대로 수거함 투입약봉투 개봉 X
    정제(알약)플라스틱 포장 채로, 겉 종이 박스 제거 후 투입약 종류별로 섞지 않기
    물약/시럽마개 꼭 잠그고 병째 투입우체통 X, 반드시 수거함만 사용
    연고/안약외부 포장 제거, 용기만 수거함에 투입알루미늄 튜브도 그대로 가능
    파스/좌약종이 제거 후 내용물만 투입냄새·접착 성분 있는 경우 별도 포장
    건강기능식품일반쓰레기로 배출폐의약품이 아님
    주사제류병원에 문의 or 보건소에 별도 처리 요청일반 가정 배출 금지

    ※ 폐의약품은 종류별로 섞지 말고
    종류별로 따로따로 수거함에 넣는 게 좋습니다!


    약 버리는 법 우체통 수거는 어떻게 쓰나요?

    서울, 세종, 전남 일부 지역에서는
    폐의약품을 우체통에 넣어도 수거하는 시범 운영이 진행 중이에요.

    • 반드시 약봉투에 폐의약품 표시
    • 약 내용물이 새지 않게 밀봉
    • 액체류, 연고류는 절대 금지

    다른 우편물에 피해 줄 수 있으니,
    시럽이나 물약은 꼭 전용 수거함으로만!


    ❌ 절대 해선 안 되는 약 버리는 법

    • ❌ 하수구에 붓기: 물로 희석된다고 없어지지 않아요.
    • ❌ 일반쓰레기에 무심코 버리기
    • ❌ 그냥 모아서 한 봉지에 담아 통째로 버리기
    • ❌ 주변 사람에게 나눠주기 (의약품 공유는 위법)

    특히 하수구로 흘려보낸 약물은 정화시설에서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서 결국 하천, 지하수, 생물체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 약도 ‘자원’이에요! 올바른 폐기가 환경을 지킵니다

    우리가 버리는 약은
    그냥 쓰레기가 아니라 화학성분이 남은 폐기물입니다.
    정확히 처리만 잘 해도
    환경 오염 줄이고, 항생제 내성 생기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요.

    더불어
    가정에서 약물 오남용을 줄이는 방법이기도 해요.
    약을 오래 보관하지 않고,
    정해진 기한 내에 정리하고,
    쓰다 남은 건 제대로 처리하기!

    이거 하나만 실천해도
    충분히 ‘약 잘 버리는 사람’입니다 🙂